치아결손공간을 교정으로 개선하는 ‘비보철 교정’에 대하여 -2
안녕하세요.
종로고운미소치과 원장 최낙천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광화문역교정치과에서
비보철 교정이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오늘은 비보철 교정의
실제 케이스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는 다수의 큰어금니 결손공간을
보철치료 없이 개선한 비보철 교정 증례입니다.
28세 여성으로 다수의 큰어금니들(#16,36,46)이
결손 된지 오래되어 후방의 어금니들이
전방으로 쓰러졌으며,
결손공간의 잇몸뼈도 퇴축되고
상악우측 부위는 상악동도 많이 내려와 있어
임플란트를 하기도 어려운 상태였습니다.
교정적 평가로는 입술위치는 양호하였으나
매우 심한 덧니와 정중선변이를 보였습니다.
환자는 결손공간을 보철치료 없이
교정적으로 폐쇄하고 사랑니들을
큰어금니로 사용하기 원하였습니다.
추가로 큰어금니가 결손되지 않은 부위인
상악 좌측은 공간확보를 위하여
작은어금니(#24)를 발치하고
교정치료 진행하였습니다.
결손공간의 크기가 크고 잇몸뼈도
퇴축되어 있으므로 치아를 이동시키며
잇몸뼈를 만들어 나가는 개념인
With the bone 을 통해 공간을 폐쇄하였으며
이는 치료기간이 길어짐을 의미합니다.
또한 효과적인 구치부의 이동을 위하여
교정용 미니스크류를 식립하였습니다.
광화문역교정치과
교정치료기간 31개월 소요되었으며,
성공적으로 큰어금니 결손공간 폐쇄하고
사랑니들 (#18,38,48)을 두 번째 큰어금니들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마무리 하였습니다.
또한 가지런한 치열과 안정적 교합을
얻을 수 있었으며, 위축된 잇몸뼈도
치아이동과 함께 만들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매복된 작은어금니들을
제 위치로 견인한 비보철 교정 증례입니다.
21세 여성으로 오른쪽으로 씹지 못하는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원하였습니다.
우측 상하악의 두 번째 작은어금니들(#15,45)이
맹출하지 못하고 매복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앞뒤의 작은어금니들(#14,44)과
큰어금니들(#16,46)이 쓰러져
오른쪽은 최후방 큰어금니들(#17,47)을
제외하고는 전혀 교합이 되지 않는 상태였습니다.
타병원에서는 매복된 작은어금니들 뿐만 아니라
큰어금니들도 발치하고 4개의 임플란트 혹은
브릿지로 치료하기를 권유하였으나,
본원에서는 비보철 교정을 통하여
어금니들을 배열하며 견인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매복된 작은어금니들을 구강내로 견인하여
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비보철 교정을 시행하였습니다.
총 치료기간은 34개월 이었으며,
치료 후 정상적인 좌우 교합을 이루고
치료전과 비교시 잇몸뼈도 많이 생성되었으나
왼쪽에 비해서는 어느 정도의 잇몸뼈 소실과
잇몸퇴축을 피할 수는 없었습니다.
위의 광화문역교정치과
증례들에서 보신 바와 같이
어금니 결손공간을 닫거나 매복치를 견인하는
비보철 교정치료는 일반적인 교정치료들에 비하여
치료기간도 더 길고 고려해야 할 사항들도 많습니다.
매복치의 경우에는 나이도 큰 변수가 되며
늦어질수록 견인의 성공율은 급격하게 떨어집니다.
큰어금니 결손공간을 폐쇄 시에는
잇몸뼈의 상태, 사랑니의 활용가능성, 대합되는
치아들의 상태들을 면밀하게 평가해야 하며,
보철치료(임플란트나 브릿지)로
마무리 하는 경우보다 치료기간이 길게 걸리고
완전히 공간이 폐쇄되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는 점을 충분히 설명하고
교정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또한 교정 종료후 유지관리도 더 신경 써야 하며
통상적인 유지장치 외에 추가적으로
공간폐쇄나 견인한 치아 좌우로
와이어 스플린트 부착도 고려해야 합니다.
종로고운미소치과는 자연치를
최대한 보존한다는 진료철학을 통하여
비발치, 비수술, 비보철 교정을 추구합니다.
치아교정을 고민하고 계신다면
종로고운미소치과에 내원하여
상담부터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