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결손공간을 교정으로 개선하는 ‘비보철 교정’에 대하여 -1
안녕하세요.
종로고운미소치과 원장 최낙천입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자연치보존 교정’의
카테고리 중 하나인
‘비보철 교정’에 대하여 종로교정치과에서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자연치보존 교정’은 또 다르게는
세가지를 행하지 않는다는 의미의
3비(非)교정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첫 번째로 발치하지 않는 비발치 교정,
두 번째로는 수술하지 않는 비수술 교정,
세 번째로는 보철하지 않는
비보철 교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보철 교정’이라 하면
보철치료를 위한 보조적인 방법으로서
교정치료를 이용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경우는
부분 교정으로 진행이 되며,
결손공간으로 쓰러진 어금니를
세우는 구치 직립(molar uprighting),
과맹출한 치아를 제 위치로 밀어넣는
구치 함입(Molar intrusion)등이 대표적입니다.
그렇다면 종로교정치과
‘비보철 교정’이란 어떤 의미일까요?
종로교정치과 ‘비보철 교정’을 통하여
어금니가 결손되어 임플란트나 브릿지가 필요한 경우
옆의 자연치를 이동시켜
결손부위를 폐쇄할 수 있으며,
영구치가 맹출하지 못하고 매복되어 있거나
심하게 위치가 변위된 경우
이를 발치하지 않고 재위치 시킬 수 있습니다.
종로교정치과 비보철 교정을 통하여
보철의 필요성을 줄이고
자연치를 더욱 잘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조화롭고 안정적인 치아배열 또한 얻을 수 있습니다.
종로교정치과 이번 칼럼에서는
비보철 교정이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비보철 교정의 실제 케이스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