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년 교정, 내 나이가 어때서? -1
안녕하세요.
종로 고운미소치과 원장 최낙천입니다.
우리나라의 저출산, 고령화는 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구구조 변화는 통계청에서
매 5년마다 실시하는
<인구주택 총조사>를 통하여 조사되며
총조사에 의한 통계자료들은
향후 국가의 주요정책 수립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저희 치과계를 비롯한
전체 의료계의 미래 전략수립 시에도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난 <2020인구주택 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유소년인구 100명에 대한 고령인구 비율을
나타내는 노령화지수는
2010년 69.6에서 2021년 143.0으로
10년 사이에 2배가 높아져,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매우 가파르게 높아지고 있습니다.
또한 연령별 인구구조를 보면
4,50대 인구가 가장 많으며,
유소년 인구가 감소하고
고령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전형적인 항아리형
인구 피라미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고령화추세가 지속된다면
역피라미드 형태의 인구분포를 가지는
초고령화 사회로 머지않아 진입하게 될 것 입니다.
이렇듯, 대한민국이 고령화사회로 접어듦에 따라
중장년의 치과치료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수복하고 보철하는 전통적 중장년
치과치료를 넘어선
예방적, 심미적 치료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교정치료의 일반적인 대상은
청소년들과 2,30대 성인들이었으나
점차 교정치료에 관심을 가지는
40대 이상의 중장년층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간의 교정치료기간과
장치부착에 대한 거부감,
상대적으로 높은 교정비용,
또한 잇몸건강과 기존 보철물 교체에 대한
우려로 쉽게 교정치료를
선택하지 못하는 중장년 환자들이 많습니다.
전체교정의 이러한 장애요소들을
극복하고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편안한 앞니교정(육전치교정)을 통해
가지런한 앞니를 얻음으로써
중장년 환자들이 심미적, 기능적으로
건강한 미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중장년의 교정치료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하여
종로치과잘하는곳에서 살펴보겠습니다.
첫번째, 구강내 상태에 대한 고려사항
우선 중장년의 잇몸상태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중장년의 교정치료 시에는
잇몸상태에 대한 면밀한 검사와 치료,
구강위생관리 교육이 필요하며,
잇몸뼈 소실로 인하여 교정치료시
저항중심이 치근쪽에 위치하므로
교정력을 가할 때 경사이동이 되기 쉽습니다.
생역학을 고려한 지속적이고
약한 교정력을 부여하여야
성공적인 치아이동이 가능합니다.
또한 종로치과잘하는곳에서
교정치료 후 앞니들을
잡아주는 고정성 유지장치는 중장년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치아동요도를
감소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다음으로 중장년의 보철물과 임플란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중장년들은 특히 어금니부위에 보철물과
임플란트가 많으므로
전체교정시 어려움이 있습니다.
구치부를 고정하여 기존의 교합을
유지하고 앞니만 이동시키는
앞니교정(육전치교정)을 통해
보철물 교체의 가능성은 낮출 수 있습니다.
종로치과잘하는곳
다음포스팅에서는
중장년 교정치료시
추가적인 고려사항들과
대표적인 중장년의 육전치교정 치료증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